청년월세지원금신청
청년창업지원금
주거급여 분리지원
은행금리비교바로가기
청년창업지원금
주거급여 분리지원
청년이라면 꼭 알아야 할 정책지원금!
바로 청년도약계좌입니다.
정부가 저축을 도와주는 제도로
5년 만기 70만원이하 자유적립!
✅ 청년도약계좌란?
청년도약계좌는
청년이 매달 납입한 금액에 정부가 추가로 지원해주는 금융상품입니다.
은행이자+비과세혜택+정부기여금(납입금액에 비례해 소득구간별 정부기여금지원)
- 매달 최대 70만 원 납입 가능
- 정부 지원 최대 월 40만 원
- 연이율 약 3.5%
- 5년 후 약 5천만 원, 10년 유지 시 최대 1억 원까지 가능
소득이 낮을수록, 납입 금액이 많을수록 더 많은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.
✅ 신청 방법 및 가입 기간
- 가입 가능 기간: 2025년 12월 31일까지
- 신청 가능일: 매월 2주간 (예: 1월엔 1월 2일~10일)
- 가입 방법:
- 1금융권 11개 은행 앱에서 비대면 신청
- 심사 후 계좌 개설 가능
은행금리비교바로가기
가입 가능한 은행 목록:
IBK기업 / KB국민 / NH농협 / 신한 / 우리 / 하나 / 대구 / 경남 / 부산 / 광주 / 전북은행
금리비교
✅ 가입 조건 (나이, 소득 등)
누가 가입할 수 있을까요?
구분 | 기준 |
---|---|
나이 | 만 19세~34세 (병역기간 최대 6년 포함 시 만 40세까지) |
개인 소득 | 총급여 7,500만 원 이하 / 종합소득금액 6,300만 원 이하 |
가구 소득 | 기준 중위소득 250% 이하 (예: 1인 가구 6,233만 원 이하) |
기타 | 외국인도 가입 가능 / 국세청 신고 소득 필수 |
✅ 정부지원금 및 금리 정보
- 납입 금액: 월 최대 70만 원 (자유 납입)
- 지원 방식: 개인 소득 구간에 따라 정부가 기여금 매칭
- 이자: 3년 고정 금리 약 5% (우대 조건 달성 시 최대 6%)
- 비과세 혜택: 이자소득세 면제
기여금 매칭 예시
개인소득 | 월 기여금 한도 | 매칭 비율 | 정부 지원 최대 |
---|---|---|---|
2,400만 원 이하 | 40만 원 | 6% | 2.4만 원 |
3,600만 원 이하 | 50만 원 | 4.6% | 2.3만 원 |
4,800만 원 이하 | 60만 원 | 3.7% | 2.2만 원 |
6,000만 원 이하 | 70만 원 | 3.0% | 2.1만 원 |
✅ 청년희망적금과의 비교
항목 | 청년희망적금 | 청년도약계좌 |
---|---|---|
가입연령 | 19세~34세 | 19세~34세 (최대 40세) |
소득 조건 | 연 3,600만 원 이하 | 연 7,500만 원 이하 |
납입 한도 | 월 최대 50만 원 | 월 최대 70만 원 |
만기 | 2년 | 5년 |
정부지원 | 최대 36만 원 | 최대 144만 원 |
금리 | 최대 10.49% | 약 8~10% 수준 |
담보대출 | 불가 | 가능 |
중도해지 | 불가 | 조건부 가능 |
✅ 중도해지 시 유의사항
일반적인 중도해지 시
→ 정부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은 받을 수 없습니다.
하지만 아래와 같은 특별중도해지 사유에 해당되면
→ 해지해도 기여금과 세제 혜택 유지 가능합니다.
- 가입자 사망 또는 해외 이주
- 퇴직 및 폐업
- 천재지변, 장기질병
- 생애 첫 주택 구매
- 혼인및 출산
※ 일반 중도해지 시, 해지 2개월 후 재가입 가능 (기여금 일부 차감됨)
✅ 청년이라면 꼭 신청 고려해보세요!
청년도약계좌는
정부의 직접적인 재정 지원을 받는 제도입니다.
소득 요건만 맞는다면 가입하는 것이 훨씬 유리합니다.
고금리 혜택, 정부 기여금, 비과세 혜택까지 더해지면
5년 뒤 수천만 원 자산을 만들 수 있는 기회!
8월에는 1일부터 14일까지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입니다.
👉 청년도약계좌는 은행 앱에서 비대면 신청 가능